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책읽기
- 대법원인터넷등기소
- 스위트스멜링
- 지역화폐
- 부동산계약
- 일상
- 글쓰기
- 코로나
- 계약서파일
- 놀이터
- 시작하기
- 부동산계약서
- 인스타그램
- 코로나19
- 유치원
- 전입신고
- 넷플릭스드라마
- 육아
- 계약서한글파일
- 확정일자
- 아파트청약
- 부동산상담
- 전월세신고제
- 습관만들기
- 퍼스널브랜딩
- 강철부대
- 나를바꾸는습관
- 저녁메뉴
- 창업하기
- 임대차3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전세권 (1)
조금씩 천천히 걸어가기

전세와 전세권은 같은 전세계약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세권은 전세 계약 후 추가적으로 전세권을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럼 전세보다 전세권이 더 유리할까? 하나씩 살펴보자. 전세와 전세권의 차이점 전세와 전세권의 가장 큰 차이는 전세는 채권, 전세권은 물권 라는 것이다. 채권과 물권의 차이는 크지만 여기서는 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지 여부가 가장 큰 차이다. 그럼 전세권이 유리한걸까? 그렇지는 않다. 전세의 경우도 전입신고로 대항력이 생기고 확정일자를 받으면 전세권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런데 비용에서는 크게 차이가 난다. 확정일자를 받는데는 600원이면 가능하지만 전세권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세금 1억 기준 60만원 내외의 비용이 발생한다. 이 또한 임대인의 동의는 필수조건이다. 임대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부동산 정보
2021. 11. 26. 15:16